◁ 영어 공학
1. 영어 훈련 구조
2. 영어 훈련 방법
3. 영어 훈련 구현
이곳에서는 영어 훈련이라는 것이 어떻게 생겼는지, 그리고 그런 훈련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영어 훈련 방법이라는 것은 어떻게 생겼는지, 그런 방법을 사용해서 영어 훈련을 구현한다는 것은 무엇인지를 큰 차원의 시각에서 알아 본다.
1. 영어 훈련 구조
정상적인 소통에 필요한 능력들과 그 능력들을 훈련해 나가기 위한 전체 과정을 알아보려면, 우리가 일상에서 상대의 말을 알아듣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대의 말을 듣고 이해해 나가는 과정을 개념화한 것이다.
<말을 알아듣는 과정>
왼쪽은 상대로부터 말을 듣고 최종적으로 그 말을 알아듣는 과정을 간단히 그리고 있다. 오른쪽 그림은 알아듣는 과정의 구체적인 이해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각 단계의 이름을 '소리 차원 이해', '텍스트 차원 이해', '감각 차원 이해', '실전 차원 이해'로 나타내고 있다. '말하기 능력' 또한 구조는 동일하다. 실제로 소통 능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하위 차원의 능력이 모두 성장해야 한다. 아래 차원의 능력이 필요한 만큼 성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쪽 차원의 능력이 정상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는 없다.
전체 훈련 과정은 앞의 그림을 기준으로 해서 체계화할 수 있다. 만약 실제 훈련이라면, 일반적으로 '소리와 텍스트'는 함께 익혀 나가게 된다. 예를 들어서, 단어 배우면서 발음도 함께 연습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전체 훈련들은 다음처럼 요약될 수 있다.
<영어 훈련 단계 정의>
왼쪽은 상대로부터 말을 듣고 최종적으로 그 말을 알아듣는 과정을 간단히 그리고 있다. 오른쪽 그림은 말을 알아듣기까지의 중간 과정에서 감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이해 단계들을 나타내고 있다.
훈련 적응(텍스트 차원), ②감각 훈련, ③ 실전 적응, ④실전 성장
훈련을 통해서 각 이해 단계에 필요한 능력들이 성장해야 한다. 그런 능력들의 성장에 필요한 '훈련 내용'이 옆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훈련 단계' 이름이 붙여져 있다 그림을 '훈련 단계'를 기준으로 해서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훈련내용 | 훈련 단계 | |||
텍스트(훈련적응) | 감각 훈련 | 실전 적응 | 실전 성장 | |
표현훈련 | 기본 표현 요소 주목 | 영어식 느낌 주목 | 표현 감각 성능 주목 | 생각, 감정 소통 주목 최종 능력 성장 주목 |
소리훈련 | 기본 소리 요소 주목 | 영어식 느낌 주목 | 소리 감각 성능 주목 | |
훈련도구 | 디버깅 적응 | 디버깅 활용 | 디버깅 활용 | 디버깅 활용 |
<영어 훈련 진행 체계>
이 표가 영어 훈련의 전체 과정에 대한 훈련 단계들에 해당한다. 이 표는 또한 전체 영어 훈련의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텍스트 훈련 단계'라는 것은 이미 우리가 익숙한 단계의 훈련이다. 영어 문장들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모르는 단어의 소리와 뜻을 찾아보고 암기하는 수준의 훈련이다. 이 단계의 훈련을 '훈련 적응 단계'라고 부르는 것은 발음, 어휘와 문법 등을 단순히 '지식' 차원에서 익히는 것이 아니라 '감각'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향의 훈련에 적응해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표에는 '훈련 도구'로 '디버깅(debugging)'이라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것이 훈련을 '감각 성장의 방향'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도구이다. 훈련에 적응한다는 것은 바로 디버깅이라는 훈련 실천 도구에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감각 훈련 단계'라는 것은 동일한 영어 표현이라도 그것을 텍스트 차원이 아닌 영어식 발성과 영어식 소리를 통한 소리와 표현에 대한 영어식 느낌을 경험하는 단계의 훈련을 말한다. 그리고 '실전 적응 단계'라는 것은 소리와 표현 감각의 성능을 실제 대화에서 필요한 만큼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경험하도록 하는 단계의 훈련이다. 그리고 최종 '실전 성장 단계'는 지금까지의 훈련 경험과 성장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 최종적으로 '생각과 감정'을 주고받는 차원에서 집중하는 훈련을 말한다.
앞에서 본 그림에서는 전체 훈련 단계를 다시 'I. 하위 단계'와 'II. 상위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상위 단계'는 실제로 듣기 말하기 능력의 직접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는 단계이다. 반면에 '하위 단계'는 듣기 말하기 능력의 성장을 위해서 필요한 감각 차원의 능력들을 사전에 준비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최종 훈련 단계 이전의 모든 훈련은 듣기 말하기 훈련을 위한 준비 단계에 해당한다.
하위 단계(경험, 준비 단계) -> 상위 단계(최종 성장 단계)
훈련자들은 각자의 현재 능력 수준과 각자의 선택에 따라서 구체적인 진행 단계 또는 큰 진행 단계를 기준으로 해서 진행해 나갈 수 있다.
2. 영어 훈련 방법
앞에서 본 단계적 훈련을 구현해 나가는 과정에서 필요한 개념들과 방법들을 체계화하면 다음처럼 하나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EOEP 훈련 체계>
영어 훈련을 하다 보면, 각 훈련 체계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등장하게 된다. 훈련자들은 그런 이슈들에 대응하는 자신만의 영감을 얻기 위해서, 필요할 때마다 특정 체계를 참고할 수 있다. 각 훈련 체계를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통합 훈련 체계 - 실제 훈련 구현 관점에서의 이슈들과 대응 전략을 정의하고 있다.
• 훈련 진행 체계 - 훈련 진행 단계 관점에서의 영어 훈련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 자료 관리 체계 – 자료 선택과 관리 관점에서의 영어 훈련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 반복 방법 체계 – 영어 반복 방법 관점에서의 영어 훈련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 영어 감각 체계 – 소리와 표현 관점에서의 영어 훈련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 상태 관리 체계 – 영어와 능력의 상태 변화 관점에서의 훈련 관리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 멘탈 관리 체계 – 멘탈 상태 변화 관점에서의 훈련 관리 체계를 정의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이 훈련 체계가 EOEP 버전의 '영어 훈련 방법'에 해당한다. 이곳에는 다양한 체계와 구현 전략, 원리, 원칙 등이 정의되어 있다. '통합 훈련 체계'에 포함되어 있는 '디버깅(debugging)'이라는 것이 실제로 훈련을 구현해 나가는 도구에 해당한다.
3. 영어 훈련 구현
실제 상황에서 훈련자가 실제로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알아 보려면, 앞에서 봤던, ‘훈련 진행 단계’를 디버깅이라는 훈련 도구를 중심으로 해서 다시 그려 보면 된다.
<디버깅 중심의 훈련 구현>
훈련자들은 선택한 영어 자료를 반복하면서, 디버깅을 활용해서 계속 익숙함의 정도를 높여가는 일을 하게 된다. 이때 고민과 판단해야 할 일이 생긴다면 훈련자들은 'EOEP 훈련 체계'를 참고할 수 있다. 이것이 실제 상황에서 영어 훈련을 구현해 나가는 모습에 해당한다.
◁ 영어 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