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라는 것도 다른 것이 있는 듯 하다.
'첫눈에 반하는 재미'와 '노력해서 얻는 재미'
많은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들이 재미있는 일을 하면서 자유롭게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이 재미있어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재미있어 하는 것을 찾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재밌어하는지 빠른 시간안에 찾아주기를 바란다. 그래서 많은 것을 경험해 보기를 바란다.
나도 마찬가지다. 문제는 이전에 아이에게 요구했던 말 표현이 문제였다.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재미있어 하는 것을 하라". 그냥 '재미'라고만 했다. 이 표현을 지키려고 했었던 건지, 아니면 본능대로 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자신이 보기에 재미없거나 흥미없는 것은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이었다. 방학이 되었는데도 학교에서 특별히 제공하는 활동 프로그램들이 모두 흥미없다고 신청을 하나도 하지 않는다. 방학동안에 하나 해 보겠다고 하는 것이 수영이나 해 볼까하고 있다. 엄마, 아빠까 뭘 할지 찾아보라고 하니까 억지로 하나 머리에서 짜내는 듯 했다. 그것도 수강이 아니라 시간될때 하는 자유 수영으로 고려하고 있단다.
부모로서 약간 걱정이다. 노는 것이 걱정이 아니라 얘가 "재미"라는 것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그래서 "재미"라는 것을 다시 정리해서 알려줘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첫눈에 반하는 재미'와 '노력해서 얻는 재미'를 구분하기로 했다. 첫번째는 게임이나 친구들과 노는 것처럼 해 보지도 않고 첫눈에 재미있을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재미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두번째는, 재미는 없게 보이지만, 하다 보면 의외로 재미가 있을 수 있고 그래서 호기심이 생겨서 노력하다 보면 성취를 하면서 느끼는 성취감과 같은 재미를 말한다고 했다. 그래서 재미는 없게 보이더라도 새로운 것을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재미없어 보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그것을 선택해서 새로운 경험을 하도록 할 것이냐, 이것은 쉬운 문제가 아닌 듯하다. 거기에는 '의미'라는 것을 아이가 느낄 수 있어야 할 것 같은데 아직 아이에게 그것은 쉬운 일은 아닐 거라는 것이다. 이 부분은 아이를 믿고 기다리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물론 첫눈에 반하는 재미중에서도 오래 가는 것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약간 영재나 천재끼가 느껴지는 아이들이 보여주는 특별한 것에 대한 관심과 흥미 같은 것들에 대한 재미는 어쩌면 오래 갈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첫눈에 반하는 재미는 오래 가지 못하는 속성이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이나 외적인 물건 들에 대한 관심 등. 이런 경우는 아이의 자아가 발달하고 그리고 그런 재미의 허무함, 무의미함을 느낄때까지 그리고 뭔가 의미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을때까지 기다리는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중학교, 고등학교 때까지 기다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경험에 의하면,기다린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대학교, 사회에 나갈때까지 아이가 느끼지 못하면 어떻게 할까라는 걱정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도 기다려야 한다는 생각이다. 강요해서 시킬 수는 있겠지만, 그것은 아이가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기다려야 한다. 그것이 부모의 일일 것이다.
'탐구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학자가 말하는 세계 (0) | 2023.07.26 |
---|---|
what, so what? (0) | 2023.07.26 |
‘당신은 겉보기에 노력하고 있을 뿐’ (0) | 2023.07.26 |